https://youtu.be/lVtgqmjv4BQ?si=HkWN11XM1uECmBEg위의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강의 내용 정리강의가 생각보다 길어서 절반정도의 내용까지 정리했습니다. - 컨테이너를 쓰려면 리눅스와 런타임(컨테이너 관리 도구)이 있어야 함.- 대규모 서비스를 돌려야 해서 서버를 여러대 사용하고 있다면 한번에 관리하기 위해 쿠버네티스를 사용한다.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만든 뒤- ls로 보면 컨테이너의 루트 디렉토리의 FileSystem은 overlay, 호스트서버는 /dev/mapper/... 로 표시된다.- hostname은 컨테이너의 uid, 호스트서버는 pc 이름이 표시된다.- id 명령어를 쳐보면 uid(유저id), gid(그룹id)는 같다- 사실 루트권한으로 프로..